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경제
2014.12.02 01:17
연중 무역규모 역대 최단기 1조 달러 돌파
조회 수 3605 추천 수 0 댓글 0
연중 무역규모 역대 최단기 1조 달러 돌파 11월 수출 470억 달러·무역흑자 56억 달러,올해도 트리플 크라운 기대 지난달 무역규모가 1조달러를 돌파하면서, 2011년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연간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달성한 후 올해까지 4년 연속 1조 달러 선을 넘어섰다. ![]() 무역규모 1조 달러는 미국이 1992년에 처음으로 달성한 이후 독일(1998년), 중국·일본(2004년), 프랑스(2006년), 영국·네덜란드·이탈리아(2007년)에 이어 우리나라(2011년)가 세계에서 9번째로 달성했다. 홍콩은 우리보다 1년 늦은 2012년에 1조 달러를 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달 28일 오후 1시7분 수출 5202억 달러, 수입 4798억 달러를 달성함으로써 무역규모가 1조 달러를 넘었다고 1일 발표했다. ![]() 특히 무역규모 1조 달러 달성 시점은 2011년이 12월5일, 2012년 12월10일, 2013년 12월6일이어서 11월에 1조 달러 선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11월 수출액은 470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 줄었고 수입액은 414억 달러로 4.0%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무역수지는 56억 달러 흑자로 집계됐으며 34개월째 흑자 행진을 지속했다. 조업일수 감소(-1일) 등으로 수출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일평균 수출이 증가한 점을 볼 때 호조세가 지속되었고, 유가하락 영향으로 월간 수입액이 감소하고 무역 수지 흑자규모가 증가했다. 산업부는 미국·EU 등 선진국과 아세안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 증가 및 중소·중견기업의 수출호조가 수출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수출의 경우 전년도이대비해 대미 수출은 20.8%증가했으나, 중국(-3.2%), EU (-6.7%), 일본(-24.4%) 감소했다. 아울러 자본재, 소비재 수입은 증가했으나 유가하락 영향으로 수입액중 60% 이상을 차지하는 원자재가 감소하며 총수입이 줄어들었다. 철강제품(수입가 하락), 원유·석유제품(유가 하락), 석탄(도입단가 하락), 가스(도입물량 감소) 등 주요 원자재 수입이 감소했다. 자본재의 경우 무선통신기기부품·반도체제조용장비·선박용부품 등은 증가, 소비재는 1500cc이하 자동차 수입이 증가했다. 산업부는 2014년도 수출은 5750억달러(2.8%↑) 내외, 수입은 5,300억달러(2.8%↑) 내외, 무역수지는 450억달러를 전망해 사상 최대 무역규모, 수출규모, 무역흑자를 기록해 작년에 이어 무역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 달성을 기대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해솔 인턴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