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5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 (Euro) 및 유럽 경제 전망



최근에 유로 (Euro) 가 미화 그리고 파운드 대비 급격한 하락을 하고 있다.

새해 1월7일에유로는 달러 대비 $1.1823을 기록, 2006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환율을 기록했으며 더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말에 유럽으로 휴가를 갔다 오신 분들은 환율 및 유럽 물가가 다소 반가웠던 것 같다. 주지하시는 바 와 같이 환율은 해당 경제국가의 현재 힘과 다른 국가들과의 상대성을 반영한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실제로 파운드/유로는 1년동안 5% 범위 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는 반면 유로/달러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 대비 유로가10% 이상 절하 된 셈이다.  유가도 2009년5월 이후 처음으로 $50 (배럴 당) 하락, 시장에 많은 불안감을 초래했다. 결론부터 정리하면, 전편에서도 언급했듯이 현재 세계경제를 볼 때 미국과 중국이 쌍두마차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유로 존에 있는 국가들을 금융위기 이후 아직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 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리스 위기 재 촉발, 독일/프랑스 경기 성장 둔화 등 많은 위험 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다.



 컬럼2.jpg 



미국경제와 달러 강세 추이



유로의 약세는 EU의 경제침체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환율의 역학관계상 그 것 보다는 달러의 강세라고 보는 것이 오히려 맞을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동반한 자산가치 버블붕괴로 인해 전 세계가 공황상태일 때 미국 (Federal Reserve Bank)의 경제 처방 방법은 유럽과 사뭇 대조적이었다.



미국은 몇 차례의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를 통해 몇 조 달러에 해당하는 통화를 시장에 풀어 금리인하를 초래해 소비 진작과 기업 경제활동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10개 이상의 국가경제를 묶은 EU는 문제가 있는 주로 유럽 남부 국가들에게 (PIIGS: Portugal, Italy, Ireland, Greece, Spain) 재정적자를 축소시키라는 강한 처방 (fiscal austerity)을 내렸다. 심지어 영국과 다른 주요 국가들도 AAA신용평가를 지키기 위해 정부예산을 긴축하는 방향으로 갔다.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강한 구조조정을 시행해 체질 강화를 했지만 한정된 자금은 소위 우량기업에 몰리고 중소기업 까지는 제한적으로 공급, 고른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 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현재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14년 3분기에 GDP 성장률 5%를 기록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규모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증가다. 참고로 중국은 7% 대를 예상하고 있다. 또한, G20 선진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은 미비한 성장을 보이는 반면 BRIC (Brazil, Russia, India, China) 은 중국을 제외하고는 경제침체를 겪고 있어 견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들이 별로 없다. 뚜렷한 성장 모멘텀을 끌고 가는 주요 국가는 미국과 중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제 회복으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은행 (Federal Reserve Bank)이 조만간 금리인상 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환율에 많이 반영 되어 있다.



컬럼1.jpg 



달러의 강화는 최근에 급격한 하락을 보인 유가 (Brent crude oil)에도 영향을 미친다. 과거 추세를 보면 달러와 유가는 역 상관관계를 갖는다. 달러의 약세는 유가의 강세를 초래하고 달러의 강세는 유가의 약세와 연결된다. 최근에 등장한 미국의shale gas, 기름산출 국가들인 OPEC의 생산공급을 감소하지 않는 점, 세계경제 둔화 및 소비 감소 등이 유가를 $100에서 최근 $50이하로 감소시킨 요소로 볼 수 있지만 과거에 강한 미화는 원료 (commodity)를 하락 시키는 것을 보았고 특히 원유는 더욱 더 역 상관관계가 있다.  



미국경제의 회복을 동반한 달러 강화와 상대적으로 침체 되어있는 G20국가들 (중국 제외)의 상황에서는 달러가 나머지 주요 통화 (엔, 유로, 파운드) 대비 절상할 가능성이 크다.


 
유럽경제와 유로 전망

위에서 언급했듯이 EU와 미국은 다른 경제해결책을 선택했다. 어느 쪽이 적절한 처방을 내렸는지를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이지만 EU가 더 많은 체질적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유로 통화는 ECB (European Central Bank, 유럽중앙은행) 에서 양적 완화 등 통화정책을 (monetary policy) 통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제도적으로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재정정책 (fiscal policy)이 EU로서는 통합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독일, 프랑스 등이 서로 다른 정책을 시행하면 일관성이 없을 수 밖에 없다. 



이번 주 발표된 자료를 보면 EU 물가는 예상했던 것 보다 하락, -0.2%를 기록했다. 유가 하락이 큰 작용을 했지만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증상이기 때문에 유럽중앙은행 입장에서 보면 큰 우려가 아닐 수 가 없다.  ECB는 물가상승을 (inflation)을 2% 대로 목표를 하고 있었다. 통상 유로의 10% 하락은 물가상승 (inflation) 의 1%를 초래 할 것이라고 본다.



컬럼3.jpg


현재 시장은 ECB 의 Draghi총재가 소비 진작 및 물가 상승을 위해 대대적인 양적 완화를시행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얼마만큼 빨리 그리고 어느 정도 강한 처방을 내릴지 여부가 관건이다. 그 규모에 따라서 금리하락과 유로 절하 수준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것이다. 독일을 제외한 EU국가들은 유로절하를 싫어하지 않는 눈치다. 수출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어느 국가를 보더라도 환율절하와 경기회복의 연관성은 명확하지가 않다.



달러강세는 아시아 통화 및 원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계에서 3번째로 큰 경제규모를 지닌 일본도 EU와 비슷한 고민에 빠져있다. 양적 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별 다른 소비진작 또는 물가상승에 긍정효과를 못 보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국가들이 견실한 성장을 못 보이는 이상, 미국 달러의 강화는 올해 지속될 전망이고 유로는 약세를 보일 것이다. 더구나 올해 3/4분기쯤 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경우 그 파급효과는 예상하기 힘들다. 특히 미화 부채를 많이 가진 국가/기업들에게는 경종을 울릴만하다.



--------------------------------------
박준영 ParkJ@ebrd.com
CSFB, Rothschild, Lehman Brothers에서 10년 이상 서울, 뉴욕, 홍콩에서 investment banking 근무
현재는 런던 소재 국제금융기구인 유럽개발부흥은행(EBRD)에서 30개 이상 국가에 있는 금융기관에 투자 업무 담당.
터키와 러시아 회사 사외이사도 겸임.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일본 게이오대 MBA 졸업.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741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의 모더니즘의 시작 file 편집부 2019.02.11 2525
740 유로저널 와인칼럼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50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7장 랑그독-루씨옹(Languedoc-Roussillon) - 6 file eknews 2015.06.29 2526
739 영국 이민과 생활 영주권자 해외 출생 아이 입국영주권 eknews 2015.09.01 2527
738 영국 이민과 생활 주재원비자에서 T2G전환과 T1E사업비자 전환 eknews 2014.09.09 2530
737 유로저널 와인칼럼 <김성중 소믈리에가 소개하는 와인바 이야기> 김성중 소믈리에의 향기로운 파리 : 특별한 축제 vendange 2015 file eknews10 2015.11.01 2531
736 김재완의 IT 융합 칼럼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 file 편집부 2017.10.16 2531
735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영주권 신청 시 연봉 얼마나 돼야 하는가? eknews 2016.08.02 2536
734 영국 이민과 생활 T1E사업비자 자금위치와 요즘 경향 eknews 2015.02.17 2537
733 영국 이민과 생활 취업비자 연장심사 중 비자만료와 거절 및 항소 eknews 2016.08.23 2539
732 윤혜아의 캠퍼밴 라이프 파리 가는 길에 생긴 일 file 편집부 2018.07.03 2543
731 박심원의 사회칼럼 같이의 가치 file eknews 2016.06.06 2545
730 김재완의 IT 융합 칼럼 4차 산업혁명과 융합의 시대에서 한국의 미래 file eurojournal_editor 2017.07.14 2548
729 김재완의 IT 융합 칼럼 인공지능의 현주소, 새로운 언어 체계의 창조? - 미디어에 의한 과학기술 과대 포장의 그늘 file eurojournal_editor 2017.08.16 2549
72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있는 여행 - 고갱과 함께 ( 6 ) file eknews 2016.07.24 2550
727 영국 이민과 생활 내년 영국 학생비자 제도 어떻게 바뀌나? 유로저널 2010.12.15 2551
» 유로 (Euro) 및 유럽 경제 전망 file eknews 2015.01.12 2554
725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그림이 있는 여행 - 고갱과 함께 ( 3 ) file eknews 2016.07.03 2555
724 박심원의 사회칼럼 군주민수 2016 file eknews 2017.01.09 2557
723 영국 이민과 생활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한인신문 2009.08.05 2560
722 다가 오는 영국 대선에 따른 파운드의 향방 file eknews 2015.05.04 2562
Board Pagination ‹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