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153.53.234) 조회 수 27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영국 의료진 부족 및 서비스 향상 위해 현 의료보험제도 개선 주장



영국 병원들의 의료진 부족으로 지난 한 해동안에만도 3,000 여명의 외국인 의사들로 메워지면서 웅굽환자 대기시간이 크게 개선되었으나 현재의 의료시스템의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986-영국 4 사진.jpg


영국 일간 The Guardian지 보도에 따르면 인력부족으로 고민하는 영국 무상의료시스템인 국가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가 부족한 의료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난 해에 인도, 폴란드, 호주, 그리스 등을 포함한 27개국에서 2,957명에 이르는 외국인 의사들을 고용했다.



영국 내 이 기간 7,500명의 의사가 새롭게 등록을 한 것과 비교했을 때 외국 의사의 수는 전체의 39.4%를 차지한 것이다.
NHS는  "영국은 필요한 만큼의 의사를 키워내고 있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외국에서 교육받은 의사들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고 설명하면서 "특히 응급실의 경우 인력부족이 다른 분야에 비해 더욱 심각한 편"이라고 밝혔다.



이와같은 NHS의 외국인 의사 고용정책에 힘입어 병원들의 응급진료 환경이 크게 개선돼 환자들이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NHS발표에 따르면 지나 1월의 경우 응급실을 찾는 환자의 95%가 4시간 이내에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정부의 목표는 아직 달성되고 있지 못하고 있지만 93%가 무리 없이 병원에 접수를 했고 4시간 안에 진료를 받고 귀가해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는 평가이다. 



하지만, 영국 병원의 경우 재정적으로 허덕이면서 치료용 침대가 턱없이 부족해 지난 연말 기준 하루 평균 300건의 예약된 수술이 취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The Sunday Times는 이로인해 치료용 침대가 부족해 12월의 첫째 주와 둘째 주 같은 경우 외과 전문의들은 예정돼있던 3,113건의 대기수술을 연기해 하루 평균으로 311건이 연기되었다.



특히, 이 기간동안  161건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는 수술이 연기되어 2013년 같은 기간 138건보다 더 많았다.
한편,나이젤 파라지(Nigel Farage) 영국 독립당(United Kingdom Independence Party) 대표는 BBC 방송의 뉴스나이트(Newsnight) 프로그램에 출연해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출이 증가한 만큼 큰 보상이 없었다" 고 말하면서 "인구가 늘면서 현재의 공공의료서비스는 실용적이지 못하다" 고 했다.



독립당 대표는 이어 "10년, 20년, 혹은 30년 안에 이 국가의 인구가 8천만명, 9천만명, 혹은 1억명이 된다고 했을 때 우리는 (공공의료서비스) 제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고 주장하면서 영국의 공공 의료 서비스인 국민의료보험(National Health Service)이 10년 안에 새로운 보험 제도로 교체되어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는 2000년과 2012년 사이 공공의료서비스로 인한 지출이 두 배 가량 늘었지만 많은 환자들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지금의 우선순위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어떻게 하면 더 높이고 운영을 할 지 고민하는 것" 이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영국 싱크탱크인 킹스펀드(King’s Fund)는 국민을 위한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함과 동시에 매년 증가하고 있는 NHS의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내년 NHS 예산을 20억 파운드 늘려야 한다는 주장했다. 



 크리스 햄(Chris Ham) 킹스크로스 대표는 “NHS의 효율을 증가시켜 (예산을 줄이는 방법)도 있지만 이것 하나만으로 재정적인 고통을 완화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하면서 “늘어나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더 많은 예산이 투입이 되지 않고서는 내년에도 NHS는 재정적 위기가 올 것이며 이는 환자들의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나고 의료서비스의 질이 저하되는 등 더 많은 비용을 결과적으로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진: The Independent 전재>



영국 유로저널 이은주 기자
eurojournal24@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노딜 브렉시트 후 영국 거주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10가지 file 편집부 2019.09.04 19626
728 영국, 브렉시트 이후 EU 규범대신 독자적 체계 구축 편집부 2019.11.19 1318
727 영국 병원, 일반 수술 44만명 이상 대기중 file 편집부 2019.11.27 710
726 영국 어린이 수백만명, 불안으로 고통 받아 편집부 2019.11.27 3088
725 영국 총선, 승리는 보수당이 수상은 노동당에서 가능 편집부 2019.11.27 931
724 英 보수당 총선 압승 전망, 브렉시트 연기없이 단행 총선공약 제시 file 편집부 2019.11.27 2709
723 영국 집값 , 지난 1 년간 상승률 낮지만 침체 우려 벗어나 file 편집부 2019.12.03 1546
722 EU-영국 무역협정, 브렉시트 이후 난항 전망 file 편집부 2019.12.03 2230
721 영국 학부모, 자녀 학교 선택에 명예와 학교 순위 우선 편집부 2019.12.03 2286
720 South Western 철도 파업, 27일간 단행으로 혼란 불가피 file 편집부 2019.12.03 1666
719 영국 총선, 크게 다른 정당별 총선공약으로 '브렉시트 운명' 결정 편집부 2019.12.11 1322
718 영국 북극발로 내리는 폭설과 폭우로 큰 타격 예상 file 편집부 2019.12.11 1131
717 브렉시트 이후 EU 국민들, 영국방문시 전자 비자 면제서류 필요 편집부 2019.12.11 2012
716 영국 SWR 철도 파업, 27일간 이후 새해에도 지속 경고 편집부 2019.12.11 991
715 영국 가계 부채, 학자금대출과 할부구입 증가로 크게 상승해 file 편집부 2019.12.11 1254
714 영국 보수당의 완승으로 영국 거주민들이 얻게되는 혜택들도 풍부해 file 편집부 2019.12.18 954
713 영국 보수당 총선 압승에 시장 긍정 반응: 파운드화 및 주가 급등 file 편집부 2019.12.18 855
712 보수당 승리로 들썩이는 영국 주택시장, 지만 구매자는 서둘러서는 안돼 file 편집부 2019.12.18 1111
711 英 보수당, 총선 과반의석 확보로 1월말 브렉시트 확실시 file 편집부 2019.12.18 909
710 영국 금리 유지 속에도 유로화 대비 환율 안정세 지속 편집부 2019.12.30 941
709 영국 과속 운전 단속, 지역 경찰에 따라 큰 차이 있어. 편집부 2019.12.30 785
Board Pagination ‹ Prev 1 ... 599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07 608 ... 640 Next ›
/ 64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