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2015.04.21 20:13
세월호 1주기,진실 인양이 최우선이다
조회 수 1420 추천 수 0 댓글 0
세월호 1주기,진실 인양이 최우선이다 지난 16일은 수학여행 길이었던 안산 단원고 학생과 일반승객들을 포함해 모두 476명을 태우고 인천에서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 여객선이 전남 진도군 병풍도 21㎞ 해역에서 침몰해 304명의 희생자를 내고 아직도 9명은 실종상태로 있는 세월호 참사의 1주기가 되는 날이었다. 가족을 잃은 유족들은 팽목항에 다시 모여 피를 토하듯 울었으며, 전국 곳곳에서는 추모 물결이 이어졌다. 세월호 사고의 최대 피해지역인 경기도 안산시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리본이 거리를 메웠다. 교육계와 종교계를 비롯해 많은 국민들도 이날 추모행사에 참석, 참사로 희생된 이들을 애도하고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을 위로했다. 방송계와 연예계는 추모 분위기를 고려해 예능프로그램을 취소하고, 유명 스타들의 팬 사인회, 시사회 등 각종 행사를 대부분 연기했다. 추도의 물결이 살아나고, 신문·방송이 앞다퉈 참혹했던 기억을 되살린다. 동어 반복의 언어 과잉 속에 속절 없는 말 하나 보태는 건 아닌지, 세월호를 거론하는 일이 그러하다. 생때 같은 250명 우리 아이들의 주검 앞에 과연 무슨 말을 할 것인가. 이 전대미문의 참사에‘나는’일말의 책임이 없는가, 있다면 어떻게 참회하고 면죄부를 받을 것인가. 소설가 박민규는“세월호는 선박이 침몰한‘사고’이자 국가가 국민을 구조하지 않은‘사건’”이라고 규정했다. 사고가 태만, 방심 등에 기인해 뜻밖에 일어난 일이라면, 사건은 부패의 고리와 유착 의혹 등의‘의도’가 개입된 일이다. 따라서 세월호 진상규명은 사고의 원인뿐만 아니라, 사건의 책임소재까지 가려져야 완결된다. 진실의 인양 없는 안전사회 건설 대책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검찰 수사 종결 이후 국정조사를 하고 세월호 특별법을 만들어 진상조사에 나서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국민 모두가 인식하고 있듯이, 세월호 참사는 우리에게 많은 과제를 안겨줬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가 얼마나 불안하게, 그리고 부조리하게 하루하루 영위되어 가는지를 깨닫게 해준 사건이었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는 지난 1년간 변한 것이 거의 없다. 세월호 참사 1주년을 맞아 우리 국민들이 확인한 것은 참사가 현재진행형이라는 것뿐이다. 1년 전에도 그랬듯이 참사의 중심은 대통령이다. 참사 당일 상황 파악도 못한 채 7시간 만에 나타났던 대통령은 이번엔 유가족들이 모두 떠난 팽목항을 찾아가 사진을 찍고 남미로 떠났다. 대통령이 시행령 폐기를 약속하지 않으면 추모제를 무기한 연기하겠다며 유가족들이 폐쇄하고 떠난 팽목항 분향소를 찾은 것은 또 어떠한가? 팽목항에서 읽은 추도사에 시행령 폐기는 언급도 없고 세월호 인양도 원론적 수준의 언급에 그쳤다. 아직 실종자들과 함께 바다 속에 잠겨 있는 세월호가 말해 주듯이, 배의 침몰 원인을 제공한 공직계의 구조적 비리는 더욱 더 기승을 부리고 있고, 안전의식 결여로 인한 참사는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이후 국민안전처를 신설하긴 했지만 많은 국민은 여전히 실효성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체감할 만한 변화가 없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지 불과 한 달 뒤 전남 장성군 한 요양병원에서는 22명의 노인이 목숨을 잃는 화재가 발생했다. 10월에는 경기도 판교시에서 행사도중 환풍구가 무너지는 어이없는 사고가 발생해 관객 16명이 숨졌다. 연이어 12월에는 러시아 서베링해에서 명태잡이를 하던 사조산업 소속 오룡호가 침몰해 53명이 실종되거나 숨졌다. 안전 불감증이 만들어 낸 이러한 대형사고가 줄지어 발생하고 있으니, 어떻게 우리사회가 세월호 1년을 허송세월로 보내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일각에선 세월호를 빨리 잊고 일상으로 돌아가자는 목소리도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건강성을 위해서는 세월호 참사의 원인이 되는 구조적 모순점을 하나하나 밝혀내고 개선점을 찾는 뼈아픈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