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박 우리나라의 프랑스 와인 기행 48 : 프랑스 와인 자습서 제7장 랑그독-루씨옹(Languedoc-Roussillon) - 5



랑그독-루씨옹이 프랑스의 다른 와인 산지와 비교해서 가장 특별한 점은 바로 VDN(Vins doux naturels)이다. 프랑스 VDN 생산량의 90%가 랑그독-루씨옹에서 나온다니 확실히 특산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은 VDN을 좀 알아보자.

 

그런데 VDN이 뭘까? VDN은 쉽게 말해서 달고 알코올 도수 높은 와인이다. 어떻게 그런 와인이 가능할까? 비밀은 양조 방법에 있다. 우선 VDN을 만들 수 있는 포도 품종은 그르나슈(Grenache), 마카보(Macabeu), 뮈스카(Muscat), 그리고 말부아지(Malvoisie)가 있다. 이 품종으로 와인을 양조하는 과정에서 비법이 나온다



바로 뮈타쥬(Mutage)라는 마술이다. 포도 주스가 와인으로 변하는 과정, 효모가 포도 주스의 당분을 알코올로 변환시키는 알코올 발효 과정 때 96% 정도로 높은 알코올을 주입해서 효모의 활동을 정지시켜 버린다. 그러면 아직 알코올로 변하지 못한 당분이 남아 있어서 달고, 높은 알코올을 주입해서 알코올은 최소 15도 이상으로 높은 독특한 음료가 탄생한다. 생각보다 간단하다.

 


대부분의 VDN 화이트는 청포도를 압착해서 나온 주스가 알코올 발효되는 중에 알코올을 주입한다. 반면, 레드 와인은 두 방식이 있다. 하나는 화이트와 마찬가지로 알코올 발효 중인 주스에 알코올을 주입하는 방식, 다른 하나는 주스에 색소와 타닌, 향을 더하기 위해 접촉시키는 마크(Marc – 포도껍질, , 줄기 등이 뭉쳐진 부분)에 알코올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전자는 좀 더 가볍고 타닌이 적어서 마시기 쉬운 스타일, 후자는 좀 더 묵직하고, 타닌도 강하며, 장기숙성이 가능한 스타일을 만드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 뮈타쥬를 알코올 발효 전에 하느냐, 발효 중에 하느냐, 아니면, 발효 후에 하느냐에 따라 다른 종류의 주정 강화 와인이 탄생한다.

 


그리고 숙성 방식에 따라 환원 방식(Réducteur)과 산화 방식(Oxydatif)의 두 스타일로 나누기도 한다. 환원 방식은 일반 와인과 같다. 숙성시키는 탱크를 최대한 산소가 없도록 만들어서 산화를 최소화 한다. 반면, 산화 방식은 오크통 또는 봉본(Bonbonne)이라 부르는 유리병을 산소에 노출해서 숙성하는 방식이다. 심지어 이 오크통이나 봉본을 야외에 내놓고 숙성을 가속하기도 한다.

 

사진1 www.lindependant.fr copy.jpg

www.lindependant.fr

Maury의 대표 생산자 ‘Mas Amiel’이 봉본을 야외에서 숙성시키는 모습.

 


뮈스카를 비롯한 청포도로 만든 화이트 VDN 중 대표적인 것은 리브잘트(Rivesaltes), 뮈스카 드 리브잘트(Muscat de Rivesaltes), 뮈스카 드 상---미네르부아(Muscat de Saint-Jean-de-Minervois) 등이 있다. 이런 화이트 VDN은 굉장히 아로마틱하고 달콤하다. 그래서 8~10도 사이로 차갑게 해서 전식주로 마시거나, 푸아그라, 푸른곰팡이 치즈, 복숭아, 살구 등 흰 과일을 얹은 타르트와 함께 마시면 제격이다.

 


그르나슈로 만든 레드 VDN 중에는 모리(Maury), 바뉼스(Banyuls), 리브잘트(Rivesaltes) 등이 유명하다. 어린 와인은 13~14, 숙성된 와인은 16~18도 정도로 서빙하면 좋다. 이 중 환원 방식으로 숙성시킨 종류는 풍성한 검은 과일 향과 달콤한 맛의 조화가 좋아서 달콤한 소스로 맛을 낸 대부분의 육류와 잘 어울린다. 그리고 숙성된 스타일, 그중에서도 숙성된 고급 모리, 바뉼스와 다크 초콜릿과의 조화는 이미 정석으로 굳어졌을 정도로 훌륭하다.


 

사진2.www.wine-searcher.com copy.jpg

http://www.wine-searcher.com/

리브잘트의 강자 도멘 카즈(Domaine Cazes)

 


산화 방식으로 만든 레드 VDN의 경우 푸른곰팡이 치즈 등 향이 강한 치즈와 아주 훌륭하다. 필자는 이런 종류의 VDN은 식사가 끝날 무렵, 커피를 마신 후 한잔하는 것을 좋아한다. 위장에게 식사가 끝났으니 일을 시작하라는 신호로 안성맞춤이다. 그리고 산화 방식 VDN의 큰 장점은 이미 숙성 중에 산화에 익숙해져서, 한두 잔 마시고 마개를 닫아두고 보름 정도 뒤에 마셔도 괜찮다는 것이다. 그래서 식후주로 한잔 씩 하기에 좋다.

 


랑그독-루씨옹의 특산물 VDN. 프랑스에서도 찾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한국에 들어가면 거의 맛볼 수가 없다. 프랑스에 있을 때 한 번 마셔보자.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프랑스 유로저널 박우리나라 기자

eurojournal29@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2241 박심원의 사회칼럼 희망의 종소리 file eknews 2017.01.02 1625
2240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file eknews02 2018.10.10 1277
2239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 학업 마친 후 남은 비자기간 여행,재입국 유로저널 2011.02.14 5851
2238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2
2237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파괴의 결합이다 - 피카소 (5) file eknews 2017.07.10 5104
2236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22
2235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사 또는 자영업 eknews 2015.02.17 1753
2234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계사는 회계사가 아니다 eknews 2015.02.03 3587
2233 최지혜 예술칼럼 환경에 처한 인간을 표현한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1.14 1875
2232 최지혜 예술칼럼 화제가 되고 있는 예술가 file 편집부 2019.09.02 2626
2231 최지혜 예술칼럼 화가들은 경험이라는 어려운 시련들을 통해 훈련된 존재들이다 file eknews02 2018.09.30 1487
2230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혼자서 스트레스 풀기 eknews 2016.03.07 1914
2229 최지혜 예술칼럼 호크니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 file 편집부 2019.08.19 1849
2228 아멘선교교회 칼럼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eknews02 2018.06.11 1132
2227 CBHI Canada 건강 칼럼 혈압약과 골다공증 편집부 2024.03.10 54
2226 최지혜 예술칼럼 현존 아티스트 중 가장 비싼 작품 file 편집부 2019.07.07 1987
2225 최지혜 예술칼럼 현재의 미술의 주도권은? file 편집부 2019.03.11 1600
2224 영국 이민과 생활 현재 YMS비자로 영국에서 좀 더 많이 체류하면서..... file 편집부 2017.12.05 2095
2223 박심원의 사회칼럼 현실은 미완성된 과거를 완성해 가는 것 file 편집부 2018.02.13 1229
2222 최지혜 예술칼럼 현대 미국 추상미술사의 선구자 file 편집부 2019.12.08 192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