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16.04.10 22:17

철사의 왕(King of wire), 알렉산더 칼더 1

조회 수 66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철사의 왕(King of wire), 알렉산더 칼더 1



1. 몬드리안  작품을 움직이게 하고 싶다!
 

30- 알렉산더 칼더 1.jpg 


Alexander Calder



현재 영국 데이트 모던 3층에서 전시 중인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1898-1976)는 미국 펜실베니아 론턴의 대를 이은 조각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20세기 미국의 가장 혁신적이고 영향력있는, 모빌(mobile)로써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가다.
 


'Alexander Calder, Performing Sculpture' exhibition view at Tate Modern


작품의 매개체(medium)에 대한 전통적인 생각을 뒤집어 놓은 그의 초기작들은 얇고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천장에 매달린 인물상들이었다.
 


30- Head.jpg

 

Head of Fernand Léger, Alexander Calder


 

30- 1931.jpg 


Wire Sculptures, Alexander Calder, 1931



1920년대 예술에 대해 학습하고 자신의 작품관을 형성하면서 유럽, 그 중에서도 예술의 중심지라 할 수 있는 파리에서 당대의 많은 작가들과 교류했다. 특히 근대 추상미술의 선구자 몬드리안(Piet Mondrian)과의 교류는 칼더가 '추상미술'에 깊이 매료되는 계기가 되었다.


몬드리안의 스튜디오를 처음 방문했을 때, 칼더는 “몬드리안의 작품을 움직이게 하고 싶다!”라고 하면서 추상적인 것에 몰두했다. 칼더는 당시를 “갓 태어난 아기가 허파로 숨쉬기를 시작하기 위해 엉덩이를 찰싹맞는 순간처럼 충격적이었다”고 묘사했다.


기하학적 요소를 움직이게 하겠다는 자신의 생각에 정작 몬드리안은 반대를 했지만,  칼더는 이때부터 더이상 고정된 조각이 아니라, 보는 사람들의 각도에 따라 달라 보일 수 있는, 그리고 그 자체로 회전을 하고 공간과 시간을 체험하는 조각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26년부터 칼더는 철사뿐만 아니라 천, 코르크, 단추 등 다양한 물질들을 이용해서 자신의 미니어처 서커스 공연자들을 만들어냈다.  이것을 이용한 ‘칼더 서커스(Cirque Calder)’ 공연에 친분관계를 형성했었던 조안 미로(Joan Miró)나,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등을 직접 초청하기도 했다. 
 

30- 1928.jpg

 

Hi, Alexander Calder, 1928



특히, 칼더의 조각에서 보여지는 생물적 형태를 조안 미로(Joan Miró)에게서 찾을 수 있을만큼, 두 사람은 1928년 만난 이후 아주 가깝게 지냈다고 한다. 칼더는 “훗날 고고학자들이 칼더에게서 약간의 미로를, 미로에게서 약간의 칼더를 찾아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2. ‘움직이는 미술 (Kinetic art)’의 선구자


     1) 생명을 지니고 있는 낯선 창조물


칼더는 움직이는 조형들을 통해 빚어내는 새로운 역동성과, 각각의 움직임이 빛과 어울러져 그림자를 통해 또 다른 형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조명과 빛, 그리고 그림자의 재구성에 있어서 탁월한 감각을 보였다. 이에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인 샤르트르는 “생명을 지니고 있는 낯선 창조물”이라고 칼더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
 


30- 1960.jpg

 

The Star, Alexander Calder, 1960



1931년 마르셀 뒤샹은 그의 이런 시도를 칼더의 움직이는 추상들(Calder’s Kinetic abstractions)이라고 명명했고, 모빌(mobile)이라는 이름도 부여했다. 불어로 모빌은 움직이는 것이란 뜻과 동기란 뜻이 있다. 즉, 모빌은 작품의 모티브란 의미를 담고 있다.
   


2) ‘움직임' 과 '정지함’


전통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조각에 모터를 달아 움직이게 한 혁명적 사건이 1932년 갤러리 비뇽(Vignon)에서 있었다. 그것은 바로 최초의 모빌 전시였다. 이 전시에서 ‘모빌’이란 명칭을 처음 들은 미술가 장 아르프(Jean Arp)는 “그럼, 당신이 작년에 만든 작품들은 뭐라 하지? 움직이지 않으니까 스테빌(stabile)인가?”라고 칼더의 작품에 대해서 비꼬아서 말했다.
모빌이나 스태빌은 '움직임' 과 '정지함'을 의미할 정도로 직설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들이지만, 칼더는 이를 듣고 "스태빌? 좋은데?"하면서 기분좋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열린 태도로 수용하는 칼더의 자세를 엿볼 수 있다.
이후 이것은 당장 새로운 조각과 이전의 조각을 구분하는 미술사 용어가 되었다. 트리니티가든에 설치된 ‘Le Cepe’ (1963)가 바로 그런 스테빌이다.
 

30- 1963.jpg 


Le Cepe, Alexander Calder, 1963



칼더는 1960~70년대에 모빌과 달리 한 곳에 고정된 스테빌을 많이 제작했다. 대형건축물이나 공공장소의 야외에 어울리는 거대한 규모와 기념비적인 형태를 갖춘 스테빌은 육중한 철판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칼더 특유의 위트와 경쾌한 느낌은 그대로 담고 있다.
    


3) 동물의 역동적인 움직임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2241 박심원의 사회칼럼 희망의 종소리 file eknews 2017.01.02 1625
2240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과 방문입국 및 10년 영주권 file eknews02 2018.10.10 1277
2239 영국 이민과 생활 휴학, 학업 마친 후 남은 비자기간 여행,재입국 유로저널 2011.02.14 5851
2238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2
2237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파괴의 결합이다 - 피카소 (5) file eknews 2017.07.10 5104
2236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22
2235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사 또는 자영업 eknews 2015.02.17 1753
2234 최무룡의 영국 회계 칼럼 회계사는 회계사가 아니다 eknews 2015.02.03 3587
2233 최지혜 예술칼럼 환경에 처한 인간을 표현한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1.14 1875
2232 최지혜 예술칼럼 화제가 되고 있는 예술가 file 편집부 2019.09.02 2626
2231 최지혜 예술칼럼 화가들은 경험이라는 어려운 시련들을 통해 훈련된 존재들이다 file eknews02 2018.09.30 1487
2230 그리니의 명상이야기 혼자서 스트레스 풀기 eknews 2016.03.07 1914
2229 최지혜 예술칼럼 호크니의 정수를 보여줄 수 있는 전시 file 편집부 2019.08.19 1849
2228 아멘선교교회 칼럼 형제들아 너희를 부르심을 보라 eknews02 2018.06.11 1132
2227 CBHI Canada 건강 칼럼 혈압약과 골다공증 편집부 2024.03.10 55
2226 최지혜 예술칼럼 현존 아티스트 중 가장 비싼 작품 file 편집부 2019.07.07 1987
2225 최지혜 예술칼럼 현재의 미술의 주도권은? file 편집부 2019.03.11 1600
2224 영국 이민과 생활 현재 YMS비자로 영국에서 좀 더 많이 체류하면서..... file 편집부 2017.12.05 2095
2223 박심원의 사회칼럼 현실은 미완성된 과거를 완성해 가는 것 file 편집부 2018.02.13 1229
2222 최지혜 예술칼럼 현대 미국 추상미술사의 선구자 file 편집부 2019.12.08 192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