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여성
2017.05.22 01:41
기업 85%, 여성직원 육아휴직 부담 돼
조회 수 2290 추천 수 0 댓글 0
기업 85%, 여성직원 육아휴직 부담 돼 기업 10곳 중 8곳은 여성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1,006명을 대상으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에 부담을 느끼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84.5%가 ‘부담을 느낀다’라고 응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응답률이 85.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견기업(83.1%), 대기업(62.1%) 순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부담을 느끼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원 수가 적을수록 업무를 대체할 인력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업무에 차질이 발생해서(51.8%,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기존 직원들의 업무가 과중 돼서(43.9%), 대체인력 비용이 발생해서(43.2%), 복귀하지 않고 퇴사할까 봐(30.6%), 대체 인력의 업무 숙련도가 낮아서(28.6%), 복귀 후 업무 성과가 떨어져서(11.2%) 등을 들었다. 이런 부담감은 고스란히 불이익으로 이어졌다. 실제로 여성직원이 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 사용 시 불이익이 있다는 기업이 무려 45.6%로 절반에 가까웠다. 불이익을 주는 방식으로는 퇴사 권유(44.7%,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이어 연봉 동결 또는 삭감(28.5%), 낮은 인사고과(25.1%), 승진 누락(22.9%), 핵심 업무 제외(15.9%), 직책 박탈(3.7%) 등이 있었다. 실제 육아휴직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출산을 경험한 여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비율은 평균 51.7%였으며, 평균 육아휴직기간은 8.3개월로 조사되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출산과 육아정책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지만, 여전히 회사 내에서는 이로 인한 불이익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업 경쟁력 향상은 물론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만큼 정부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함께 기업, 개인들의 인식개선도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한국 유로저널 원혜숙 기자 eurojournal19@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