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경제
2017.05.23 03:15
12대 신산업 일자리 2025년까지 38만개 창출
조회 수 2105 추천 수 0 댓글 0
12대 신산업 일자리 2025년까지 38만개 창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미래형 자동차와 첨단 신소재, 로봇 등 12대 신산업 에서 2025년까지 38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작년 12월 발표한 12대 신산업은 ▲전기·자율차 ▲스마트선박 ▲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신소재 ▲VR·AR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 등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12대 신산업 종사자수는 2015년 20만명에서 2020년 36만2000명, 2025년 58만5000명으로 연평균 1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체 종사자 중에서 연구개발·품질검증·생산기술 등 전문성을 보유한 산업기술 인력의 일자리 비중이 2015년 40% 수준에서 2025년 50% 수준으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구조 변화 및 신기술 발전에 따라 사무직·서비스직 등 지원인력보다는 전문성을 갖춘 고급 기술인력 중심으로 일자리가 재편됨을 의미한다. 또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신기술이 빠르고 불확실성이 높게 변화하고 있어, 향후 신산업 분야 연구개발 및 설계인력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은 “규제개선과 집중지원으로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12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고용유발형 신규투자를 유도하는 한편, R&D 자금 집중지원(5년간 7조원), 네거티브 방식 규제완화, 세제지원 등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 중심의 산업인력 교육·양성 사업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 유로저널 김태동 기자 eurojournal13@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