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정치
2019.12.04 01:31
황교안 단식, 당심 얻고 민심은 잃어 내년 총선은 불안
조회 수 1057 추천 수 0 댓글 0
황교안 단식, 당심 얻고 민심은 잃어 내년 총선은 불안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쇄신론 제기 등 리더십이 위기를 맞자 단식 농성으로 승부수로 띄운 것은 당심은 얻고 민심을 잃어 오히려 내년 총선에서는 득보다 실이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황 대표는 11월 20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파기 철회 △공수처법 철회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를 내세우며 단식을 시작했지만, 지소미아는 청와대의 ‘조건부 유예’발표로 어정정쩡해져버렸고, 나머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오른 선거법과 공수처법은 국회에서 해결을 해야한다는 점에서 단식의 이유로 호응을 얻지 못했다. 황 대표의 단식 농성은 리더십 위기로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 단식이라는 초강수로 반전을 이뤄냈다는 분석과, 냉철한 전략이 없고 외연 확장에도 미흡한 ‘강경일변도식’ 투쟁의 한계를 지적하는 시각이 공존해 민심은 오히려 더 부정적이어서 내년 4월 총선을 위해서는 결국 득보다는 실이 더 클 것이라는 전망이다. 당 내에서 3선 김세연 의원의 ‘지도부 사퇴’, ‘당 해체론’ 등 주춤한 보수통합과 쇄신 작업으로 ‘반발’ 기류가 폭발할 조짐이 나타났고, 황 대표 체제로 내년 총선을 치르는 것에 회의론이 부상하면서 급기야 연말 비상대책위원회 가능성까지 거론된 시점에서 황 대표가 갑자기 단식을 선언과 동시에 돌입했다. 이와같은 황 대표의 단식에 당 내에서조차 ‘생뚱맞다’라는 반응이 많았고 측근들 반대도 많았지만, 막상 단식에 돌입하자 일단 내부 총질은 뒤로 하고 대표를 한마음으로 응원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반발 목소리는 잦아들고, 당내 결속력은 강해졌다. ![]() 자유한국당 최고위원회가 3일 비공개최고위원회를 통해 나경원 원내대표의 임기를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함예 따라, 나 원내대표는 1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오는 10일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0대 국회가 채 6개월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나 원내대표의 임기 연장 여부를 두고 당내 의견이 분분했는데, 황교안 대표가 3일 오후 당 최고위원회를 열고 “임기 연장은 없다”고 결론을 내린 것이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2시 30분쯤 “임기 연장을 결정하는 의원총회를 소집하겠다”고 공고하저, 황 대표는 오후 4시 청와대 사랑채 앞에 설치된 '투쟁 텐트'에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원내대표 임기 연장 불가를 확정했다. 하지만, 영남권 중진 용퇴론이 전면에 나오고, 당의 쇄신 바람이 겨우 불이 붙자마자 황 대표의 단식으로 쇄신론이 ‘단식 블랙홀’에 빨려들어 종적을 감추면서 한국당이 여론에 어필할 절호의 타이밍을 놓친 것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이러한 당심은 모았다할 지라도 대안과 전략 없이 장외 농성, 삭발 등 ‘강경 일변도식’ 투쟁에 대해 민심은 '단식의 목적이나 이유' 등에 동의치 않는 회의론이 대두되었다. 게다가, 단식 도중에 ‘문재인하야 범국민투쟁본부’ 총괄대표직을 맡는 등 기독교 강성 우파 세력을 이끌고 있는 극우파인 전광훈 목사와의 30-40여분씩 밀담을 나누면서, 황 대표와 전 목사 사이를 의심하는 눈초리도 늘었다. 황 대표는 불과 8일만인 29일 단식을 중단했지만, “향후 전개될 공수처법, 선거법 저지와 ‘황운하 선거 농단, 유재수의 감찰 농단, 우리들병원 금융 농단’ 등 3대 친문(친문재인계)의 농단 진상 규명에 총력 투쟁해 나가겠다”고 밝혀 정국은 다시 한국당의 강경투쟁일변도로 침몰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