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사회
2019.12.10 20:10
사회 문제인 자살, 연령 낮을수록 본인의 선택이라 생각
조회 수 793 추천 수 0 댓글 0
사회 문제인 자살, 연령 낮을수록 본인의 선택이라 생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는 대한민국, 최근에도 유명인의 자살 보도가 이어지고 있어 ‘자살’이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이에 엘림넷 나우앤서베이가 자체 패널 1500명(남성 770명, 여성 730명)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일(62%)’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고, 그다음으로는 본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20%), 극히 예외적이지만 정당화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19%) 순으로 응답하였다. 자살에 대한 의견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살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고 응답한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10대 34.3%, 60대 이상 82.8%), 자살에 대하여 본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는 응답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 비중이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0대 43.3%, 60대 이상 6.3%). 자살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이유로는 남겨진 가족의 고통이 너무 크기 때문(48%)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고, 그다음으로는 사람의 생명은 신의 영역이기 때문(28%), 자살도 살인(범죄)이다(16%), 사회 도덕 질서가 무너진다(6%), 기타(3%) 순으로 응답하였다. 지금까지 살면서 잠시라도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59%인 반면, 41%가 ‘아니오’라고 응답하였고, 연령대 별로 분석한 결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대체적으로 자살을 생각해본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0대 67.2%, 60대 이상 46.9%). 자살을 생각하게끔 만든 이유에 대하여 연령대로 분석한 결과 10대의 경우 사회적 인간관계 갈등(20%), 정신 건강 문제(20%), 삶의 의미 상실(20%)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고, 20대의 경우 삶의 의미 상실(18.6%), 30대는 정신 건강 문제(22.3%), 40대는 경제적 고통(25.3%), 50대는 경제적 고통(29.9%), 60대 이상은 경제적 고통(26.7%)으로 나타나 연령대별로 자살을 생각하게끔 만드는 이유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경제적 고통’과 ‘가정불화’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간관계 갈등’은 나이가 낮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살에 대한 고민을 상담해 본적이 있는 응답자들에게 ‘자살을 생각해 보았지만 시도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남겨질 가족의 고통(40%), 미래에 대한 희망(26%), 자살의 고통(15%), 종교적 신념(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eurojournal26@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