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0.05.18 19:45

경매장을 후끈 달아오르게 했던 여자

조회 수 10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51) 
경매장을 후끈 달아오르게 했던 여자 

1. 아트 페어 취소
아트 바젤 홍콩은 원래 2020년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홍콩 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발현과 전염성으로 올해 예정되었던 홍콩쇼를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다음 아트 바젤 홍콩 에디션은 2021년 3월 25일에서 3월 27일 개최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를 했다.

1_2019 홍콩 아트 바젤 전경.jpg
2019 홍콩 아트 바젤 전경

세계보건기구 WTO가 현재의 코로나 바이러스 상황을 국제 비상사태로 선포함에 따라, 아트 페어 참여자와 종사자의 건강과 안전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페어로 배송되는 작품을 이송하고 설치하며 겪게 될 수 있는 심각한 실행상의 문제나, 국제 여객이 야기하는 복잡성으로 위한 위험성 증대 등 모든 안전 가능성 등을 근거로 주체측은 부득이 취소를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아트 바젤의 글로벌 디렉터인 마크 스피글러(Marc Spiegler)는 아트 바젤 홍콩을 취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고백했다. 그는 이 결정을 내리고 발표하기 전까지도 다수의 갤러리, 컬렉터, 파트너 및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구하면서, 가능한 모든 대안에 대해 살피고 고려했다고 했다. 

아트바젤 홍콩은 아시아와 전세계에서 수많은 갤러리들이 참여하는 문화예술 축제나 다름없다. 아트 페어가 담당하는 이런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지난 몇 년간 달성해온 성공만큼 이미 방대한 시간과 노력을 바쳤지만, 안타깝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갑작스러운 발생과 급속한 확산으로 취소를 하게 된 것이다.  

아트 바젤의 아시아 디렉터인 아델린 우이(Adeline Ooi)는 "우리는 전세계 그리고 특히 홍콩의 전시자, 파트너, 친구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아시아와 홍콩에 대한 우리의 약속은 변하지 않을 것이며, 2021년 에디션을 고대합니다" 라고 아쉬움을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 기관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한화 약 3,387억 원에 상당하는 2000천개 넘는 아트 작품들을 가상 상영 체험(Virtual Viewing Experience)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상영실(Online Viewing Rooms)을 런칭하자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우리 나라 국제 갤러리를 포함해 세계 234개의 갤러리가 온라인 전시에 참여하여 그들의 아트작품들을 보여주고 판매했다. 

홍콩에서는 보통 3월 아트바젤 홍콩이 끝나고 나면 이 아트페어못지 않게 큰 성황을 이루는 봄 시즌(4월, 5월)과 가을 시즌(10월, 11월)에 아트 경매 시장이 열린다. 아트바젤 홍콩이 취소되고 온라인으로 대체되었으니, 다음 경매 시장들의 행보는 어떨지 궁금하다. 

소더비의 경우 봄 시즌 홍콩 경매를 계획대로 4월에 치르겠다고 고수하다가 아트바젤 홍콩의 취소에 따라, 경매를 7월로 미룬다고 발표했다. 크리스티의 경우는 현재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진행할 것으로 발표한 상태다. 


2. 후끈 달아올랐던 경매장

지난 2019년 미술품 경매사 홍콩 크리스티(CHRISTIE'S)는 5월 24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 경매 결과 한화 약 3,864억 원의 낙찰가를 기록한 바 있다. 총 17개의 경매가 진행되었고, 3,012점의 작품이 거래되었다. 방문객도 무려 4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Christie's Christies Hong Kong Spring Auctions 2019.jpg
Christie's Christies Hong Kong Spring Auctions 2019

특히, 5월 25일 열린 '20세기 모던 & 동시대 미술 이브닝 경매'에서 요시토모 나라(Yoshitomo Nara)와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의 작품(조각 부문)이 경매 세계 최고가를 경신했다.

요시토모 나라의 'Sleepless Night (Cat)'은 한화 약 53억 원(34,925,00HKD)에, 야요이 쿠사마의 'Pumpkin'은 쿠사마 조각 부문 세계 경매 최고가인 한화 약 22억 원을 기록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3Yoshitomo Nara, Sleepless Night (Cat), 1999.jpg 
Yoshitomo Nara, Sleepless Night (Cat), 1999

4Yayoi Kusama, Pumpkin, 2007.jpg
Yayoi Kusama, Pumpkin, 2007



3. 호박은 내 삶의 동반자

올해 만 90세인 야요이 쿠사마(Kusama Yayoi,1929-)는 그녀의 최고 전성기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한국, 중국, 미국, 유럽, 런던의 데이트 모던 갤러리까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전시활동을 하고 있다.  

소위 앤디 워홀이라 하면 캠벨 수프 캔을 떠올리듯이, 야요이 쿠사마하면 호박을 연상할 정도로 호박은 그녀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그녀는 호박이미지로 그림, 조각, 무한의 방 설치, 그리고 팔찌, 구두 등 다양한 것을 만들었다. "나는 호박을 사랑한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호박은 1946년 일본의 Nagano와 Matsumoto 에서의 전시에서 처음으로 그녀의 작품에 등장했다. 당시 호박은 19세기 전환점에서 일본 전통미술의 발전되고 자국적이며 새로운 스타일로 받아들여졌다. 

1970년대 그녀가 뉴욕으로 건너 갔을 때도 호박은 작품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그녀와 함께 했다. 그리고 80년대부터 그녀의 도트 모티브의 그림과 프린트에서 호박은 다시금 등장했다. 

1994년, 그녀는 노란색의 검은 도트 패턴을 지난 호박을 나오시마 섬 세토 해안 구역에  설치했다. 이것은 그녀의 첫 야외 설치 작품으로 Benesse Art Site에 있는 부두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과 하나되어 물 위에서 우두커니 바다를 바라보고 있다. 

5나오시마 섬의 야요이 쿠사마의 노란 호박.jpg
나오시마 섬의 야요이 쿠사마의 노란 호박

이런 호박 작품은 일본의 가고시마 현의 Kirishima Open Air Museum을 포함해 이제는 프랑스, 미국 캘리포니아, 서울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인 장소에 전시되고 있다. 

6Yayoi Kusama in Mirror Room (Pumpkin) (1991).jpg
Yayoi Kusama in Mirror Room (Pumpkin) (1991)

나오시마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미아노우라항에는 빨간 호박이 하나 있다. 이것은 노란 호박이 많은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자 '빨간 호박'을 추가로 만들었다고 한다. 
 
7빨간1 호박.jpg
미아노우라항에 있는 야요이 쿠사마의 빨간 호박

(다음에 계속…)

최지혜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 아트컨설턴트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7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502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107
421 아멘선교교회 칼럼 하나님의 날이 임하기를 바라보고 간절히 사모하라 편집부 2019.12.30 710
420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가난한 사람들과 문화 예술 file 편집부 2020.01.13 1017
419 최지혜 예술칼럼 보편적인 휴머니즘 file 편집부 2020.01.13 6997
418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 (56) 그물 file 편집부 2020.01.13 813
417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28) 그대들 모두가 챔피언! ( '2019 연말 파리 시음회' - Le Grand Tasting 2019 Paris- 스케치) file 편집부 2020.01.13 1208
416 영국 이민과 생활 2020년 올해 영국이민 전망 편집부 2020.01.13 1473
415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새로운 사마리탱 Samaritaine의 유혹 file 편집부 2020.01.13 1674
414 아멘선교교회 칼럼 주 음성 외에는 더 기쁨없도다 편집부 2020.01.13 809
413 아멘선교교회 칼럼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영히 서리라 하라 편집부 2020.01.14 1130
412 최지혜 예술칼럼 워싱턴 스퀘어의 피카소 file 편집부 2020.01.20 809
411 박심원의 사회칼럼 박심원의 영화로 세상 읽기 : (57) 기장 아브 라에드 Captain Abu Raed file 편집부 2020.01.20 708
410 영국 이민과 생활 EEA패밀리 거주권과 10년 영주권 편집부 2020.01.20 847
409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파리에서 가장 이국적인 Jardin des serres d' Auteuil file 편집부 2020.01.20 1866
408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정의에 관한 신화와 예술의 시선 file 편집부 2020.01.21 1120
407 아멘선교교회 칼럼 사랑은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편집부 2020.01.21 870
406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땅에서 창작된 최고의 작품 file 편집부 2020.01.27 1373
405 아멘선교교회 칼럼 그가 우리 안에 거하시는 줄을 우리가 아느니라 편집부 2020.01.27 1099
404 에이미리의 파리에서 랑데뷰 역동적인 파리의 작은 빌리지 르 마레 Le Marais file 편집부 2020.01.27 1289
403 테오의 프랑스이야기 정의 진리에 관한 예술가들이 그린 정의 (1) file 편집부 2020.01.27 2149
402 유로저널 와인칼럼 서연우와 함께하는 와인여행 스물 아홉번째 이야기 나폴레옹(Napoléon)이 사랑한 와인마을, 그곳에서의 축제 (1) file 편집부 2020.01.28 1462
Board Pagination ‹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13 Next ›
/ 11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