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사회
2020.10.21 00:57
한국 고령 인구, 20년후 2배이상 증가로 전 인구의 25%전망
조회 수 746 추천 수 0 댓글 0
한국 고령 인구, 20년후 2배이상 증가로 전 인구의 25%전망 한국의 2020년 총인구는 5,178만명으로 내국인은 5,005만명(96.7%), 외국인은 173만 명(3.3%)로 나타났다. 이어 20년이후인 2040년 총인구는 5,086만명으로 감소, 내국인 구성비는 95.5%(4,858만명)로 감소, 외국인은 4.5%(228만명)로 2020년 대비 외국인의 구성비는 1.4배 높아질 전망이다. 2020년 대비 2040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의 구성비는 71.5%(3,579만명)에서 55.6%로, 유소년인구는 12.4%(623만명)에서 10.1%로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16.1%(803만명)에서 34.3%로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대비 2040년 외국인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90.6%(157만명)에서 71.2%로 감소하고,고령인구 구성비는 5.3%(9만명)에서 24.7%로 증가할 전망이다.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20년 803만명에서 2025년 1,000 만명을 넘어서고 2036년 15,00만 명을 초과해 2040년 1,666만명으로 향후 20년간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 내국인 총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백 명당 2020년 39.8명에서 2040년에는 79.7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2040년 기간 동안 유소년 부양비는 15-18명으로 유사한 수준이나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2020년 22.4명에서 2040면 61.6명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주배경인구는 2020년 222만명에서 2040년 352만명으로 증가, 총인구 대비 구성비는 2020년 4.3%에서 2040년 6.9%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배경인구 중 내국인(귀화)은 2020년 21만명에서 2040년 54만명으로, 내국인(이민자2세)은 2020년 28만명에서 2040년 70만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내국인 출생아수는 2020~2025년 연 29만7천명 수준, 외국인 출생아수는 2020~2025년 연 6천명에서 2035~2040년 연 4천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다. 내국인 사망자수는 2020~2025년 연 33만7천명에서 2035~2040년 연 49만3천명으로 증가, 외국인 사망자수는 2020~2025년 연 5천명에서 2035~2040년 연 1만3천명으로 증가했다. 국제순이동에 의한 인구증가는 2020~2040년 기간 중 내국인은 연 6천명 내외, 외국인은 연 3만1천명~5만7천명 수준이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eurojournal26@eknews.net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