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문화
2024.07.27 06:03
여성 전문직업인이었던 활인서의 무녀(巫女)들
조회 수 523 추천 수 0 댓글 0
여성 전문직업인이었던 활인서의 무녀(巫女)들 활인서는 조선시대 도성 밖 동ㆍ서쪽에 설치하여 돌림병의 치료와 백성에 대한 구휼활동을 담당하였으며, 도성 안으로 유입되는 돌림병의 전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다. 동활인서는 혜화문에서 광희문으로 한 차례 장소를 이전하였으며, 서활인서는 19세기 후반까지 서소문에 있었다. 지난 2022년 서울역사박물관은 도시 한양을 여성의 시각으로 처음 조명한 서울기획연구 9 《한양의 여성 공간》 보고서를 펴냈는데 여기에는 활인서 얘기도 들어있다. 나라에서는 한양도성에 거주하는 무당들을 도성에서 나가게 하거나 관리하기 위해서 무적(巫籍, 무당의 명부)에 등록한 뒤 활인서에 적절하게 배정하여 구료 업무를 맡게 하였으며, 또한 동과 서 양서(兩署) 인근에 계획된 주거공간인 무녀촌(巫女村)을 만들어 이들을 살게 하였다. 이들이 살았던 곳에는 활인새 뒤골, 신당동(神堂洞), 무원교(巫院橋) 등이 지명이 남아있다.
▲ ‘서활인서터’ 표지석(나무위키 제공) 무녀들은 활인서를 없앨 때까지 무보수로 환자들의 구료ㆍ구휼활동을 책임지고 활인서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무세(巫稅)의 형태로 상납하였는데 무녀들의 활인서 활동은 마땅히 져야 하는 부역에 응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활인서는 전적으로 무녀들의 활동과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관이었으며, 그동안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사람으로만 인식되어 온 무녀는 사실 조선시대 의료와 사회복지 업무에 종사한 한양의 여성 전문직업인이었음이 밝혀졌다. < 글: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제공 >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선임기자 yanoh@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