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건강
2025.01.28 15:08
비만 아동·청소년,초가공식품섭취가 많을수록, 대사질환 위험 증가
조회 수 390 추천 수 0 댓글 0
비만 아동·청소년,초가공식품섭취가 많을수록, 대사질환 위험 증가 음료, 즉석식품 등 초가공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을 경우, 낮은 경우에 비해 지방간질환 위험 1.75배, 인슐린저항성 위험 2.44배 높아 비만 아동·청소년들의 대사이상 위험 감소를 위해 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초가공식품(Ultra Processed Food, UPF) 은 식품의 보존성, 맛, 편의성을 위해 산업적인 공정을 거쳐 식품에서 추출되거나 합성된 물질을 함유하는 식품으로 음료, 즉석식품, 패스트푸드, 인스턴트 식품, 스낵류 등이 포함된다. 초가공식품은 가공 과정에서 당, 가공지방, 염분 등이 많이 들어가며, 비타민, 섬유소 등 영양소는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가공식품 섭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0년∼2012년까지는 섭취율이 23.1% 였으나, 2016∼2018년까지는 26.1%에 이르렀다. 한국 국립보건연구원 내분비·신장질환연구과는 과체중 이상의 8 ∼17세의 비만 아동·청소년 148명을 대상으로 초가공식품 섭취수준이 낮은 그룹(하위 1/3), 중간그룹(중위 1/3), 높은그룹(상위 1/3)으로 분류해 조사한 결과, 참여자의 83%가 지방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경우는 62.8%로 비만 아동에서 지방간과 제2형 당뇨 위험이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가공식품 섭취 수준이 가장 높은 군(상위 1/3)은 가장 낮은 군(하위 1/3)에 비하여 ‘지방간’ 위험이 1.75배, 혈당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여 혈액에 인슐린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상태인 ‘인슐린 저항성’ 위험이 2.44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간지방이 10% 이상인 중등도 이상(moderate to severe)의 지방간 위험은 4.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간질환(Metabolic 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 이란 비만, 혈당장애, 높은 혈압, 높은 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등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5개 중 1개 이상을 가진 지방간 환자를 말한다. 또한, 섭취하는 식품 중 초가공식품 비율이 10% 증가함에 따라 중등도 이상의 지방간질환 유병 위험은 1.37배 증가하고, 인슐린저항성 유병 위험은 1.3배 증가하는 것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 원장은 “비만 아동·청소년의 대사질환 유병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가공식품의 섭취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청소년의 초가공식품 섭취 감소를 위한 가정, 보육·교육시설 등의 문제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한국 유로저널 김용대 의학전문 기자 yd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