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국제
2025.04.23 20:43
중국 위안화, 세계 3위 무역금융 통화로 부상
조회 수 49 추천 수 0 댓글 0
중국 위안화, 세계 3위 무역금융 통화로 부상 3월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16개월 연속해 3조2000억 이상을 유지 중국 위안화가 일본 엔화를 제치고 달러, 유로에 이어 세계 3위 무역 금융 통화로 부상했다. 중국산업경제정보망은 중국 정부는 최근 위안화의 국제 사용 확대를 위해 제도와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금융시장 개방을 추진해 왔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위안화는 현재 글로벌 무역금융 통화 순위에서 달러, 유로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024년 외국계 금융기관 및 기업이 중국 내에서 발행한 판다채권 규모는 약 2,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홍콩에서 발행된 위안화 표시 딤섬채권도 전년 대비 150% 증가했다. 판다채권(熊猫债)은 외국 기관이 중국 본토 내에서 발행하는 위안화 표시 채권이며, 딤섬채권(点心债)은 외국 기관이 홍콩 등 중국 본토 외 지역에서 발행하는 위안화 표시 채권을 말한다. 도이체방크(Deutsche Bank) 재무부 발행 및 증권화 책임자는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판다채권과 딤섬채권 시장을 동시에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중국, 3월 말 외환보유액 3조 2,407억 달러 국가외환관리국은 3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전월 대비 134억 달러(0.42%) 증가해 3조 2,407억 달러를 기록함으로써 16개월 연속 3조 2천억 달러 이상을 유지해왔다. 외환관리국 관계자는 3월 중 달러지수와 글로벌 금융자산 가격이 모두 하락했으며, 환율 환산과 자산 가격 변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외환보유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정 속에서 개선세를 보이며, 기존·신규 정책이 지속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고 있어 외환보유액의 기본적 안정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국의 외환 보유액은 2021년말 4,631.2억달러에 이어 윤석열 정부가 시작된 2022년말에는 4,231.5억달러로 -8.6%로 감소했고 이어 2023년말에도 감소세로 4201.5억달러, 2024년말 4,156억달러에 이어 2025년 3월 현재는 4,096.6억달러를 기록해 지난 3년간 집권이래 약 -12%가 감소했다. 2025년2월말 현재 주요국 외환보유액은 1위인 중국 3조2,272억달러, 2위는 일본 1조2,533억 달러, 3위는 스위스로 9,238억달러, 4위는 인도로 6,387억달러, 5위는 러시아로 6,324억달러, 6위는 대만으로 5,776억달러, 7위는 사우디로 4,329억달러, 8위는 홍콩으로 4,164억달러, 9위는 한국으로 4,092억달러, 10위는 독이로 4,067억달러였다. 유로저널 김세호 대기자 shkim@theeurojournal.com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