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시리아 유혈사태가 발생한 후 약 1만7,000명이 희생한 것으로 추정된 가운데 유엔이 시리아 사태를 '전면적 내전'으로 규정하는 등 국제사회가 시리아 정부에 최후 통첩을 보냈다.
특히, 월스트리트저널 13일자는 궁지에 몰린 알아사드 정권이 막대한 양의 화학 무기를 저장고 밖으로 옮기고 있어, 화학 무기를 사용해 민간인을 대량 학살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시리아는 중동에서 화학무기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로 추정되지만 화학무기금지조약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시리아 사태에 대해 '비행금지구역(No Fly ZoneㆍNFZ)' 설정 카드를 들고 나와 국제사회가 시리아 제재의 방향을 군사 옵션 쪽으로 틀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시리아는 명백한 내전상태"라며 "민간인 대량 학살을 멈추기 위해 유엔헌장 제7장의 적용과 함께 NFZ 설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유엔헌장 7장은 국제평화에 위협이 되거나 침략행위가 발생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무력 사용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해 리비아 사태 때도 리비아 반정부 시위가 친ㆍ반 카다피 세력의 무력 충돌로 비화하자 유엔 헌장 7장 42조(군사적 강제조치) 규정을 적용, 리비아 상공에 NFZ를 설정하고 이튿날 바로 공습에 나섰다.
하지만 러시아와 중국이 안보리의 리비아 제재 결의안에 기권한 것과 달리 시리아 사태에는 거부권 행사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두 나라는 두 차례의 대 시리아 결의안에 모두 반대했다.
한편, 지난 5월 정부군이 중화기로 무차별 포격하고 이어 시리아 정부군과 친정부 민병대 샤비하가 마을로 난입해 어린이 49명을 포함해 108명 주민을 처형한 '훌라 학살'과 같은 방식으로, 지난 12일에도 정부군이 탱크와 헬리콥터를 동원해 시리아 반정부군이 활동하고 있는 하마 지역 내 타람세 마을 모스크에 피해있던 주민들을 공격해 최대 250명을 학살했다.
타람세 마을 주민은 대부분 수니파고, 공격에 가담한 민병대는 시아파 분파인 알라위파 출신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리아 국민 73%는 수니파지만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자신이 속한 알라위파를 정권의 친위세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진: SBS 뉴스 화면 캡쳐>
유로저널 국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