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무디스에 이어 이달 6일 피치 이어 S&P까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모두 상향 조정해 발표했다.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한국의 지정학적 위험을 이유로 한국에 유독 짠 점수를 줬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마저 14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안정적)'에서 '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S&P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올려잡은 건 2005년 7월 이후 7년 2개월만이다. 한국은 이로써 97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신용등급을 완전히 회복했다. 또한, 한국은 올해 A등급 이상 국가 가운데 3대 신평사가 모두 우등생으로 인정하는 유일한 나라가 됐다.
지난 8월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A1(긍정적)'에서 'Aa3(안정적)'으로 올려 잡았고, 이달 6일에는 피치가 'A+(긍정적)'에서 'AA-(안정적)'로 신용등급을 한 단계 높였다. 여기에 S&P까지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하면서 한국은 이른바 신용등급 그랜드슬램을 이루게 됐다.
S&P는 아울러 재정건전성과 경기 둔화에 대응하는 정부의 정책, 외채 등 유동성 관리가 촘촘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S&P는 △북한 리스크 축소 △우호적인 정책 환경 △재정건전성 강화 △양호한 순대외부채 수준 등을 상향 이유로 제시했다.
우선 북한 리스크 부문에선 북한의 원만한 권력승계로 갑작스런 붕괴 등 급변 위험이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정책 환경과 관련해선 글로벌 경기침체로 2012~13년 평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8%로 예상되는 등 경제지표가 둔화하고 있으나,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예측 가능한 정책결정 과정이 성장 촉진과 내수 안정에 기여한 점을 들었다.
재정건전성 부문에선 2000년 이후 거의 모든 해에 일반정부 수지가 흑자를 기록했고 올해 일반정부 순부채 수준도 GDP 대비 21%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낮은 순대외부채 및 경상수지 흑자를 기반으로 대외 위험에 대한 정책여력을 확보한 점도 높이 평가했다.
S&P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가능하고 강한 성장을 통해 1인당 GDP가 높아지거나 단기차입 축소로 은행시스템이 강화되면 등급을 추가로 올릴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북한의 정정 불안이 북한체제 붕괴나 안보 불안을 유발하거나, 자산 건전성이 나빠져 금융시스템이 크게 저해되면 하향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