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교역 규모가 2000년이후 견조하게 성장하였으나 최근 증가율이 둔화되었고, 향후에도 둔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교역규모는 2000년 16조 달러에서 2011년 45조 달러로, 연평균증가율 9.8%로 견조하게 성장해 왔다. 2000년 최대교역국이었던 미국(12.1%)은 점차 영향력이 떨어진 반면, 당시 7위국이었던 중국은 2011년 세계교역의 10.7%를 차지하면서 최대교역국으로 부상하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보고서‘2000년대 세계무역구조 변화의 10대 특징’에 따르면 세계 교역 구조 변화는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교역 영향력이 이동하고 있고,북미와 유럽의 세계무역 영향력이 저하되면서 아시아가 세계 무역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수출에서 차지하는 개도국 비중이 2000년 25.1%에서 2012년 41.0%로 증가하며 세계무역 내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또한, 기존의 세계무역 중심국이었던 북미와 유럽의 영향력이 저하되었다. 세계 총 교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북미는 16.4%에서 11.2%로, 유럽은 29.1%에서 24.6%로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반면,아시아 개도국으로 해외직접투자 유입액(FDI inflow)이 증가하면서 아시아 세계 수출입 비중이 2000년 9.5%에서 2012년 17.5%로 크게 증가하였다.
중국은 지난해 세계교역의 10.7%를 차지하면서 2000년 7위에서 1위로 발돋움했고, 한국도 2000년 수출액 기준 세계 12위에서 지난해 7위로 도약했다. 한국은 특히, 교역 전체 규모에서도 2012년에 이탈리아를 밀어내고 세계 교역 8위국에 이어 2013년에는 영국까지 제치고 7위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오일머니로 무장한 중동 국가들이 자본을 무제한으로 개발에 쏟아 붓고 있고, 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가 중국,선진국 등의 투자가 급증하면서 성장의 기지개를 펴면서 세계 교역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동의 세계 수출 비중은 2000년 3.7%에서 2012년 7.0%로, 아프리카는 2.1%에서 2.7%로 증가세를 나타냈다.
최근에는 무역협정국간의 무역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적 이해관계가 부합하는 국가 간의 무역자유화 협상 또는 경제블록 추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부터 소외될 경우 받게 될 피해를 우려한 국가들이 체결에 박차를 가하면서, 협정국가들간의 무역협정(FTA등)의 증가로 무역량이 증대하고 있다.
지역무역협정은 총 349개로 FTA가 203개로 가장 많고 경제통합협정(EIA)는 107개, 관세동맹(CU) 34 개, 개도국간 특혜협정(PSA)DL 15개로 분포되어 있다.
범위별로는 상품 협정이 55.0%, 상품과 서비스 협정이 44.6%, 서비스 협정이 0.4%를 구성하고 있다.
무역 품목이 다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신흥국 무역품목의 고부가가치화가 진행되고 있어,선진국과의 품목과 품질면에서 그 격차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승용차 원유 등의 20대 주요 무역품목들은 2000년에 세계 무역액의 46.2%를 차지하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수출입 품목이 더욱 다양화되면서 그 비중이 점차 감소하였고 2011년 37.9%로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제유류제품 의약품은 각각 연평균 로
성장하며 무역품목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로 다양한 산업재의 교역이 증가하였고 산유국과 개도국의 석유화학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정제유류제품 등의 교역규모가 성장했고, 신흥국을 중심으로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소득 및 소비 수준이 성장하였고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전됨에 따라 소비재 무역품목의 변화가 발생했다.
중국, 인도, 싱가포르 등의 신흥국들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인 지식기술집약산업을 바탕으로 서비스무역에서 부상함에 따라 선진국과 그 격차를 갈수록 줄이고 있다.
상품무역에서도 중국 및 한국 싱가포르 대만은 하이테크제품의 수출 비중에서도 주요 선진국을 추월하여, 저부가가치에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수출품이 이동하고 있다.
서비스무역이 견조하게 성장하였다 세계 총
서비스수출액은 연평균 10.1%로 증가하였고 서비스무역의 세계무역 기여도가 상품무역보다 높게 나타났다.세계 총 서비스수출액은 2000년 1.4조 달러에서 2011년 4.2조 달러로 증가하였고, 상품수출액은 6.4조 달러에서 18.2조 달러로 증가했다.무역구조가 점진적으로 개선되면서 컴퓨터와 보험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무역이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운송 여행 건축 등 전통적 서비스무역은 비교적안정적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많은 개도국에서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GDP성장과 고용 창출 등에 더 많은 기여를 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사슬이 확산됨에 따라 부품 소모품 등의 산업재의 교역규모가 성장하면서 산업재 교역량이 자본재를 추월하였다.
산업재의 세계수출액이 2000년 1조 5,413억달러에서 2011
년 4조 4863억달러로 증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이 되었다.
지역무역협정(RTA) 확산이 가속화되고 완제품과 부품의 차별관세가 적용되면서 글로벌 공급사슬이 확산됨에 따라 부품 소모품 등의 산업재를 바탕으로 한 무역규모가 성장했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