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질환’으로 분류되는‘뇌경색증’ 질환의 진료인원은 2007년 38만명에서 2011년 43만2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 자료에 따르면 남성은 2007년 19만명에서 2011년 22만 2천명으로 연평균 4.0%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7년 18만 9천명에서 2011년 20만 9천명으로 연평균 2.5% 늘었다.
2011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환자 구성비율은 70대가 35.7%를 차지하여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대 26.9%, 80세 이상 16.5%, 50대 15.3% 순(順)으로 나타나 전체 진료환자 43만명 2천명중 60대 이상이 34만 2천명으로 79.1%를 차지하였다.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건강보험 진료환자를 살펴보면 남성이 896명, 여성이 85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았다.
2007년 대비 2011년 증가율(인구 10만명당)을 살펴보면 80세 이상 노인에서는 크게 증가한 반면, 20~70대 발생은 감소하였다.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의 감소폭이 더 컸으며, 40~50대 여성의 경우 진료 환자 감소폭이 가장 컸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준홍 교수는 ‘뇌경색증(I63)’ 질환의 원인, 치료법 및 관리요령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뇌경색증’이란?
뇌경색증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것으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과 구분된다. 뇌경색과 뇌출혈을 통틀어 뇌졸중(뇌혈관 질환)이라고 하며, 뇌졸중은 뇌혈관의 폐색 또는 터짐에 의하여 손상된 뇌부위의 신경학적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뇌경색증’의 원인
뇌경색증의 원인으로는 조절이 가능한 원인과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이 불가능한 원인으로는 나이, 유전적 요인 등이 있고, 조절이 가능한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이 있어 평소의 관심과 적극적인 관리로 예방이 가능하다.
‘뇌경색증’의 증상 및 합병증의 종류
뇌경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편마비, 구음장애, 어지러움증, 언어장애,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장애, 두통, 복시, 삼킴장애, 감각이상 등이 갑자기 나타나게 된다.
후유증으로는 거동장애, 보행장애 및 어지러움증 등과 혈관병의 후유증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폐렴, 하지혈관협착 및 폐색, 낙상, 골절, 욕창, 패혈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나게 되며, 적극적인 치료 및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주요 사망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뇌경색증’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
발병 후 치료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최대한 빨리 전문 의사가 있는 병원의 응급실로 가야 한다.
? 갑자기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저리고 감각이 없다.
? 갑자기 말을 못하거나 무슨 말인지 알아듣지 못한다.
? 말할 때 발음이 어둔하다.
? 멀미하는 것처럼 심하게 어지럽다.
? 걸으려면 술 취한 사람처럼 휘청거린다.
? 갑자기 한쪽이 흐리게 보이거나 한쪽 눈이 잘 안 보인다.
? 갑자기 심한 두통이 있다.
‘뇌경색증’ 예방 및 관리요령
뇌경색증은 생활병이라고 할 만큼 위험요인의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조절 가능한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등의 심장질환, 비만, 고지혈증,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수면무호흡증, 경동맥 협착 등의 조기발견 및 관리에 힘쓰는 것이 뇌경색증의 예방에 필수적이다.
규칙적인 혈압 측정과 혈압관리, 당뇨 관리, 금연과 절주가 중요하며 또한 동물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을 싱겁게 먹는 건강한 식사습관을 유지하고, 적어도 일주일에 4일은 하루에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심방세동 등의 심장병이나 목동맥 협착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한국 유로저널 이인규 의학전문 기자
eurojournal02@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