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할미산성에서 팔각 건물지와 집수시설 발견
신라의 한강유역 점유기인 6세기 중반에 축조된 용인 할미산성의 남쪽 회절 구간에서 성벽의 축조방법을 규명함과 아울러 삼국시대 주거지 5기와 원형 수혈(구덩이)이 확인외었다. 또한, 산성의 가장 높은 북쪽 회절구간에서는 물을 모으기 위한 집수시설 1기와 주거지 13기, 원형수혈 6기가 발견되었다.
산성의 중심구역이라 할 수 있는 성내 남쪽 경사면을 대상으로 조사 결과, 팔각형(사진) 등 다각을 이루는 2동의 건물지와 대형의 장방형 초석 건물지 2동, 점토와 석재로 구축된 집수시설 1기가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삼국 시대 수혈 주거지 25기와 원형 수혈 13기, 매납(埋納, 목적을 가지고 땅에 묻음) 유구 2기 등 다양한 종류의 유구 다수가 높은 밀집도를 보이며 확인되었다.
이번 용인 할미산성에서 조사된 8각형 건물지는 내부에서 출토되는 고배(굽 높은 잔)와 토기완(흙으로 만든 사발모양의 접시) 등의 유물로 보아 6세기 중반경 한강유역을 점유한 신라인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석 건물지와 집수시설은 산 중턱에 경사면을 깎아내어 마련한 평탄 대지면 위에 일렬로 위치하고 있다. 집수시설을 중앙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초석 건물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계획적인 설계에 따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용인 할미산성은 효과적인 전투 수행을 위해 축조된 신라의 석축산성으로 발굴조사 과정에서 철제 화살촉을 비롯한 갑옷의 부속구 등이 출토된 바 있다. 할미산성은 전투가 없는 평상시에는 시조신과 천신에게 제사를 모시는 의례적 공간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번에 조사된 팔각형 건물지와 집수시설, 집수시설 좌우에 배치된 대형의 초석 건물지가 그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형 초석 건물지는 의례를 치르기 위해 준비하는 공간으로, 집수시설은 의례 준비과정에서 필요한 물을 제공하는 시설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