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1인당 소득 지역 ‘1만달러 클럽’ 증가 속 총GDP는 하락 전망
중국에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1만 달러 클럽’에 속하는 지역이 산둥성이 지난 해 진입하면서 10개로 늘었다.
2008년 중국내 도시중에서 처음으로 상하이가 1인당 GDP가 1만 달러를 넘어섰고 2009년 베이징, 2010년에는 텐진이, 2012년에 장쑤, 저장, 네이멍구의 3개 성이, 그리고 2014년에는 푸젠, 광동, 랴오닝이 1만 달러를 넘겨 9 개 지역이었으나, 2015년에 산둥성이 ‘1만 달러 클럽’에 진입해 10개 지역으로 증가 했다.
‘중국인민방송망’은 이로써 연안 주요 도시는 모두 1만 달러 문턱을 넘어섰고, 상하이, 베이징, 텐진 등 3대 직할시의 1인당 GDP는 이미 2만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해 서부의 인구 대도시 지역인 쓰촨과 중부 후베이, 후난은 과거 10년 간의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기존 7위인 랴오닝을 추월했다. 쓰촨, 후베이, 후난은 각각 7, 8, 9위에 올랐고 랴오닝은 10위로 밀려났다.
전문가들은 후난, 후베이, 충칭, 쓰촨 등 장강 중상류 지역은 풍부한 수자원과 노동력, 교통여건 개선으로 주삼각, 장삼각 지역와 연계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장삼각, 주삼각 지역에 몰려있던 전자정보, 설비제조 등의 산업들이 장강 중상류 지역으로 속속 이전하면서 이 지역 GDP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때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던 중국에서 임금이 오르고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에 줬던 혜택이 점차 줄어 들어 수지타산을 맞추기 어려워지면서 옷이나 신발 등을 생산하는 저가 소비재 공장을 중심으로 ‘중국 탈출’이 이어져 인건비가 싼 데다 노동력 수준도 높은 베트남,방글라데시 등 동남아 국가들로 옮기고 있다.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제조업계 평균 임금은 중국(시간당 3.27달러)보다 각각 60%, 25% 정도 싸고 근로자 퇴직률도 낮은 편이다.
중
국 정부가 ‘제조업 대국’이 아닌 ‘제조업 강국’이 되겠다며 소비재보다 기술집약적인 제조업을 키우는 데 힘을 쏟고 있어서다. 중국
정부는 올초 ‘제조 2025’란 제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로봇, 항공우주장비, 자동차 등 첨단제조업 분야에서
강국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경제 활력 부족에 시달리면서 중공업 분야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랴오닝등의 지역들은 질적 개선없이 규모망 확장해와 현재 경제 성장률 둔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아 개혁개방 이후 동남연안 지역의 광동, 저장 등에 밀려 3위에서 7위로 하락했다가 지난해에는 10위로 추락했다.
한편, 1인당 GDP의 1만 달러 달성 시기를 거친 세계 주요국은 1만 달러 진입 시 성장률이 8%대에서 6%대로 낮아졌고 2만 달러에 들어서면 다시 4%대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샤먼대학 경제학과의 딩창파(丁) 부교수는 ”대다수 선진국이 선진 상태로 진입한 후에는 경제성장률이 크게 하락했다. 중국 각 지역 역시 수십년의 고속성장을 거친 후 성장률이 서서히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성장보다는 제도 개혁과 혁신 동력에 의존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주광야오(朱光耀) 재정부 부부장은 “오는 2020년이 되면 중국의 GDP는 100조 위안 규모가 될 것이며 1인당 평균 GDP는 1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한편, 중국 경제가 ‘신창타이(新常, 뉴노멀)’ 시대로 접어들면서 올해 중국 16개 성의 국내총생산(GDP) 목표치가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최근 26개 성이 양회를 개최해 16개 성은 올해의 GDP 성장률 목표치를 전년 대비 하향 조정했고 8개 성은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개 성만이 성장률 목표치를 상향 조정했다고 ‘신화사’가 전했다.
지난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GDP 목표를 취소했던 상하이는 올해 6.5~7%의 구간 목표치를 설정했다. 베이징은 6.5%로 지난해보다 0.5%P 낮췄다.
중
국 정부가 2016년 2월 18일부터 13개 공항과 6개 수로·육로 항구에서 입국 면세점을 증설하고, 면세 품목을 확대하며 면세
구매한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중국인 해외 관광객이 해외에서 상품을 구매할 필요가 없이 입국시에 해외 상품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면세 구매액은 해외 면세상품 구매액과 합하여 총 8,000위안(약 1220달러)이며, 해외 면세상품 구매 한도액은 총 5,000위안(약 765달러)이다.
판
매 상품은 담배, 술, 화장품, 미용미발·보건기기, 시계, 안경, 1, 2급 가정용 의료기기, 방직품 및 신발, 소형 가죽제품과
가방, 쥬얼리 및 공예품, 식품 및 보건식품, 영유아용 조제분유 및 보조식품, 기저귀, 기타 일상용품 등이다.
텐진과 충칭은 각각 9%와 10%로 지난해 목표치를 유지했다. 특히 충칭은 여전히 두자릿 수 성장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광동은 7~7.5%, 장쑤와 산동은 7.5~8%, 저장은 7~7.5%를 정했고, 헤이롱장과 지린은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를 각각 6~6.5%와 6.5~7%로 정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뤼웬춘(元春) 중국인민대학 국가발전전략 연구원 원장은 “여러 지역에서 GDP 성장률을 낮춘 것은 중국 경제의 ‘뉴노멀’ 상황에서 정부의 판단과 선택을 반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생산설비 과잉 등의 구조적 모순이 두드러지고 신구 동력의 전환이 어려움을 겪으며 과학기술 창조능력 부족, 인구와 자원환경 모순, 지방부채 리스크 등의 문제들이 지역별 정부 공작 보고서에서 빈번하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