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
|
||||||||||||||||||||||||||||||||||||||||||||||||||||||||||||||||||||||||||||||||||||||
|
2011.08.02 04:40
진화하는 기상이변,체계적인 대책 필요하다
조회 수 4061 추천 수 0 댓글 0
진화하는 기상이변,체계적인 대책 필요하다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고, 도시의 기본적인 기능들이 마비되어 버렸다. 서초, 강남, 관악 3구는 국지성 폭우의 직격타를 맞아 버렸다. 150㎜ 정도로 예측한 기상청의 예보 역시 이번엔 어김없이 빗나갔다. 세계 25, 26위 슈퍼컴은 빈약한 소프트웨어와 예보 시스템으로 이번 피해에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홍수 대책이라며 시작한 4대강은 수십 조 원의 예산을 쓰고도 정작 체계적인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큰 도움이 되질 못했다. 지자체에 위임된 기반시설의 관리는 대중영합적인 땜질식 처방에 그쳤다. 파해쳐진 보도와 구멍난 아스팔트는 우리 도시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게 한다.
비교적 방재시스템을 잘 갖췄다고 평가받던 일본도 지난 쓰나미에 휩쓸리는 도시를 그저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다. 뉴질랜드에서 발생한 지진에 도시는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우리 역시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추석 발생했던 광화문 물난리에 그 난리를 치고도 올해 또 당하고 말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체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시형 기후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우선 그동안 개발로 인해 파괴됐던 도시생태계를 회복시켜 많은 양의 비가 내려도 도시 자체의 환경능력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일 것이다.
‘100년 만의 집중호우’가 일상화한다면 안전기준 역시 이에 맞게 고쳐야 한다. 서울시는 10년 주기 하수관거의 30년 주기 교체를 최대한 앞당겨 제2, 제3의 물난리를 막아야 한다. 주요 시설물에 대해선 4대강 사업이 채택한 ‘200년 주기’를 선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상습 침수지역에는 외국처럼 슈퍼 제방, 지하 방수로 및 저류 터널을 더 설치해야 한다.
정부는 급경사 절개지 등 형식적인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조정, 위험도가 큰 지역은 아예 개발을 제한해야 할 것이다. 겉모양만 번지르르하고 일어날 위험에 대비치 않는 단기적 안목의 개발에 더욱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천재가 났을 때 더 큰 피해를 입는 쪽은 서민들이란 것을 정부와 지자체는 명심해야 한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