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50대 이상 여성 31%가 요통환자, 남성의 2 배 복부 비만인 여성일수록 요통환자 유병률이 높아 중년 이상에서 여...
Posted in 여성 / by admin_2017 / on Jan 22, 2019 02:56
50대 이상 여성 31%가 요통환자, 남성의 2 배 복부 비만인 여성일수록 요통환자 유병률이 높아 중년 이상에서 여성의 요통 유병률이 남성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복통 위험은 복부 비만이 있는 중ㆍ노년 여성에서 특히 높았다. 단국대병원 가정의학과 최은영 교수가 50세 이상의 남녀 1만1941명의 요통 유병률을 분석한 결과, 50세 이상 여성의 요통 유병률은 31.0%로 남성(13.1%)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다. 50대 이상 여성 10명 중 3명 이상이 요통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셈이다. 여성의 요통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은 것은 여성의 허리ㆍ척추 주위 근육의 힘과 크기가 더 약하기 때문일 수 있다. 여성은 생리ㆍ임신을 경험하는데다, 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더 큰 것도 여성의 요통 유병률이 더 높은 이유로 거론된다.
복부비만이 있는 여성의 요통 유병률은 복부비만이 없는 여성의 1.2배였다. 허리둘레가 상위 1/4에 속하는 여성의 요통 위험은 하위 1/4에 해당하는 여성의 1.3배였다. 복부비만이 요통 위험을 높이는 것은 복부비만으로 과도한 힘이 고관절에 가해지기 때문일 수 있다. 이 힘을 줄이기 위해 상체를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로 인해 허리뼈가 구부러져 허리를 압박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요추 관절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허리디스크 손상 위험이 커져 요통이 생길 수 있다. 최 교수는 논문에서 "남녀 모두에서 비만은 요통과 무관했다"며 "남성의 복부비만은 요통 위험을 특별히 증가시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요통은 전체 인구의 84%가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다. 대개 요통 환자의 90%가 3개월 이내에 회복되지만 3개월 이상 요통이 지속되는 만성 요통 환자도 23%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유로저널 이영호 기자 eurojournal19@eknews.net
![]()
유로저널-한국 뉴스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9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